"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이 말은 미국의 관계 상담사 존 그레이가 쓴 유명한 책 제목입니다. 이 책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다른 감정적 필요성과 소통 방식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하며, 이 차이를 이해해야 관계를 개선할 수 있음을 주장합니다. 한편 일부는 이 책이 성별 차이를 지나치게 단순화한다고 주장하고, 고정관념을 강화한다고 비판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성별 간 차이가 있다고 여기는 걸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심리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어떻게 상대방의 심리에 반응할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뇌과학으로 본 차이
모자이크 뇌라는 개념을 들어보셨나요? 모자이크가 다양한 조각의 타일들이 결합하여 고유한 이미지를 만드는 것처럼, 각 사람의 뇌는 고유한 특성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죠.
신경과학자 다프나 조엘(Daphna Joel) 교수는 인간의 뇌가 일반적으로 '남성'과 '여성'으로 불리는 두 가지 카테고리로 깔끔하게 나눌 수 없다고 말합니다. 행동 면에서 성별 간 차이는 있지만, 이는 뇌의 성별을 결정하는 명확한 요인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뇌의 형태의 경우 오히려 스트레스와 환경과 같은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형성됩니다.
남성의 뇌가 여성보다 크고 더 능력이 있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지만, 과학자들은 이를 뒷받침할 증거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실제로 여성들은 학문과 연구와 같은 분야에서 점점 더 남성보다 발전하고 있다며 그녀는 기존의 이론에 이의를 제기하고 우리의 뇌가 점점 남자와 여자의 특성을 둘 다 가지는 독특한 조합으로서 "중성적인" 뇌를 형성한다고 설명합니다.
따라서 성별 간 심리 차이는 뇌의 크기나 형태에 기반하지 않고 개별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문화적 요인에 기반하여 형성된 것임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학으로 본 차이
그렇다면 심리학 관점에서는 어떠할까요? 심리학자 조던 B. 피터슨은 그의 빅 파이브 성격 연구에서 이를 연구했습니다. 빅파이브 성격 연구란 심리학에서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델입니다. 이는 개방성(Open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 외향성(Extraversion), 친화성(Agreeableness), 신경성(Neuroticism)이라는 다섯 가지 넓은 특성으로 성격을 분류하기 때문에 종종 "OCEAN 모델"이라고도 불립니다.
패터슨 교수는 남녀 성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친화성과 신경증적 성향을 발견했습니다. 이 발견은 여성이 일반적으로 친화성이 더 높으며 친절함과 협력성의 경향을 더 많이 가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성격적 차이가 모든 남성과 여성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며, 남녀 사이에는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더 많다고 설명합니다. (아래 영상 4:15초 부터)
https://youtu.be/LLyPVgeH-jo?t=255 (4:15초부터)
성격적 차이는 개인의 경험, 문화적 배경, 교육 수준 등 다양한 외적인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여성은 우호성보다는 경쟁심이 강한 성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또한, 남성도 친절하고 협력적인 성향을 가진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성격적 차이가 성별이 아닌 개인에 기질과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사람의 심리,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
남성과 여성은 감정을 표현하고 경험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차이는 성별에 의해서가 아니라 개인적인 차이와 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누구나 서로 다른 성격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성별 간에 호감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개인적인 차이와 상황, 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성별에 기반해 누군가를 판단하기 보다 개인적인 차이와 경험을 고려하고 공감 능력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오늘 글을 마치기 전에 기억해야할 두 가지가 있습니다.
Try This
-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서로 간의 의사소통 방식과 성향을 이해하고, 이를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상대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 그의 관점과 의견을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 선입견을 깨기 위한 교육: 다양한 관점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찾아보세요. 서로 다른 성별의 개인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고유한 개인이며, 남성과 여성 모두 자신만의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경험합니다. 상대방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그 사람의 심리와 행동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도록 노력해 보세요.
'관심사 > 관계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애, 대인관계를 좌우하는 애착 유형의 특징과 회복법 (불안형, 회피형, 혼란형 애착 유형) (0) | 2023.08.13 |
---|---|
남자가 연애하고 싶은 여자가 가진 6가지 특징 (0) | 2023.08.13 |
만만하게 보이지 않는 3가지 심리 스킬 (0) | 2023.08.02 |
썸탈때 이렇게 하지 마세요 (대신 이렇게 해보세요) (0) | 2023.08.01 |
집중력이 부족하고 산만한 당신, 사실은 창의적일 수 있다? (0) | 2023.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