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oxA-mzUJmi8
존 보울비의 애착 이론에 따르면, 우리는 어린 시절에 받은 보살핌과 안전감이 성인기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오늘은 대인관계를 좌우하는 세 가지 애착 유형을 살펴보고, 각 유형에 맞는 극복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신의 애착 유형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극복법을 적용하면 더 건강하고 행복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회피형 애착 유형
<겨울 왕국> 주인공 엘사는 가족이나 친구들과 가까운 관계를 원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엘사는 이상한 힘이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능력을 숨기기 시작합니다. 엘사는 안나와 가까워지는 것을 두려워하며, 안나가 그녀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두려움은 자신의 감정을 공유할 수 없다는 느낌을 주며, 대인 관계에서도 자신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더 건강한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엘사와 같은 회피형 유형의 사람들은, 감정을 조금씩 표현하면서 이를 연습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기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감정과의 관계를 다시 만들어내고, 자신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은 자신과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 관리와 자기 성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감정을 부정하거나 무시하지 말고, 그것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불안형 애착 유형
영화 '니모를 찾아서'에서 니모의 아버지 말린은 다른 사람들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영화에서 니모가 수영을 배우는 장면에서, 말린은 아들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위험한 상황에서도 안심하지 못하는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말린이 니모에게 더 많은 자유를 줄 수 있다면, 니모의 자립성을 키워주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과도한 의존성을 가진 불안형 애착 유형의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건강한 관계 형성을 위해 자신만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자신의 강점과 장점을 발견하고 자신을 믿고 더욱 자신감을 갖게 되는 기회를 마련해 보세요. 이러한 노력은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도한 의존성을 가진 사람들은 타인이 자신을 해결해 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성공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과 타인 간의 관계를 더욱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혼란형 애착 유형
영화 <포레스트 검프>에서 포레스트의 어린 시절 친구인 제니는 고향 앨리바바로 돌아와 주인공 포레스트와 행복한 시간을 보냅니다. 그러나 그의 청혼을 거절하며 이윽고 떠나버리는데요. 이러한 행동과 패턴은 제니의 내면에서 비롯되는 복잡한 감정과 상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혼란형 애착 유형은 어린 시절에 부모나 보호자와의 관계에서 상처를 받은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형으로, 일관되지 않은 행동과 복잡한 이성관계 패턴을 보입니다.
이러한 성향을 가진 사람이 더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우선적으로 자신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해야 합니다.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안정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일상 속에서 어느 정도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자신만을 위한 규칙적인 일정을 만들거나, 명상과 요가처럼 마음의 평화를 찾을 수 있는 활동을 포함시켜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함께 소통하며 이해하고, 자신을 위한 안정적인 방법을 찾아보면, 더 건강하고 행복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애착 유형은 우리가 어떻게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는지의 중요한 키입니다. 이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극복법을 적용하면 더 건강하고 행복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관심사 > 관계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로움 숨기지 말고 이기는 법: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 4가지 (1) | 2023.08.17 |
---|---|
품격있는 여자가 가진 6가지, 우아한 여자 특징 (0) | 2023.08.14 |
남자가 연애하고 싶은 여자가 가진 6가지 특징 (0) | 2023.08.13 |
남자와 여자는 다르다는 착각, 심리학 뇌과학 관점에서 바라본 남자와 여자 심리 차이 (0) | 2023.08.03 |
만만하게 보이지 않는 3가지 심리 스킬 (0) | 2023.08.02 |
댓글